Eastern Michigan University 지리/지질학과 조교수 (2014-2015)
University of West Georgia 정치/계획학과 조교수 (2010-2014)
University of West Georgia 도시 및 지역계획학 석사과정 주임교수 (2010-2014)
학술지 논문
(2022)
자전거 교통사고 다발지역 예측을 위한 딥러닝 모형의 적용.
국토계획.
57,
7
(2022)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development in a Korean Chinese enclave: the case of Daerim 2-dong in Seoul.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SCIENCES.
1,
1
(2022)
사회적 자본이 안전인식을 매개로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의 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56,
2
(2022)
보행고령자 교통사고의 공간적 군집 형성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57,
2
(2021)
보행교통사고 다발지역 예측을 위한 딥러닝의 적용 : 수도권 노인과 어린이 보행교통사고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56,
7
(2021)
가구 생애주기와 주택점유형태에 따른 주거만족도 및 영향요인 차이.
한국행정학보.
55,
3
(2021)
근린의 경제적 변화에 대한 영향요인과 공간적 상호의존성 : 읍면동 수준의 주택가격 변화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56,
5
(2021)
지역 간 건강 불평등의 공간적 분포 - 지역 사망률을 통한 탐색적 연구.
국토계획.
56,
5
(2021)
Spatial Dependence in Local Suicide Ideation and Actual Suicide among the Elderly : A Comparative Study between Men and Women.
국토계획.
56,
4
(2021)
지역출산율의 공간적 상호의존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공간패널분석을 활용하여.
국토계획.
56,
4
(2021)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지역환경요인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55,
2
(2021)
1인가구의 신체활동 결정요인 : 다수준 모형을 활용한 청년층 및 노년층의 비교연구.
국토계획.
56,
2
(2020)
Spillover effects in neighborhood housing value change: a spatial analysis.
HOUSING STUDIES.
1,
1
(2020)
The Effect of Discrimination on Stress among Public Housing Resident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Social-Mix and Independent Public Housing Complexe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7,
18
(2020)
Globalization and slums: How do economic, political, and social globalization affect slum prevalence?.
HABITAT INTERNATIONAL.
98,
(2019)
빈집 증가의 공간적 자기상관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국토계획.
54,
7
(2019)
지방정부 산업진흥 예산결정의 공간적 상호작용.
한국행정학보.
53,
4
(2019)
Exploring residential experiences of female immigrants in Korea.
International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24,
2
(2019)
주택실소유와 주택소유의지에 따른 주거환경만족도 및 결정요인 차이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54,
3
단행본
(2022)
도시행정의 이론과 실제.
대영.
공동
(2019)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60년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공동
(2012)
한국주거복지정책.
박영사.
공동
학술회의논문
(2022)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Senior and Child Pedestrian-Vehicle Collision Vulnerable Areas.
Wester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s annual meeting.
미국
(2021)
Factors Affecting Elderly and Child Pedestrian Crash Hot Spots: A Deep Learning ApproachAuthors.
Association of American Collegiate Schools of Planning's annual conference.
미국
(2021)
중국동포 밀집지역에서 사회적 자본과 커뮤니티 개발 관 상호관계.
한국행정학회 하계공동학술대회 및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2020)
Spatial patters of Local Health Inequities.
The Association of Collegiate Schools of Planning's Annual Conference.
미국
(2020)
노인 성별에 따른 자살 생각과 자살 간 공간적 편차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대한민국
(2020)
이주민이 근린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공간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대한민국
(2020)
지역 간 건강불평등의 공간적 분포분석 - 총 사망률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대한민국
(2020)
Housing Policy in Korea.
Best Practices in Inter-Local Cooperation Webinar.
필리핀
(2020)
The effect of discrimination on stress among public housing resident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social-mix and independent housing complexes.
한국행정학회 하계공동학술대회.
대한민국
(2020)
서울 강남3구와 강북3구의 신체활동 차이에 관한 연구.
하계공동학술대회.
대한민국
(2020)
서울시 공공임대주택가구의 주거비 부담 결정요인: 다가구 매입임대주택과 영구임대주택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대한민국
(2019)
도시규모에 따른 출산율 차이 및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 비교 분석.
한국지역학회 후기학술대회.
대한민국
(2019)
서울시 거주 외국인의 차별정도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학회 후기학술대회.
대한민국
(2019)
서울시 주민들의 근린환경 만족도가 사회 계층 이동 인식에 미치는 영향
: 강남·강북권 주민의 근린환경만족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역학회 후기학술대회.
대한민국
(2019)
Exploring Spatial Patterns of Growth in Vacant Housing in Korea. poster presentation.
The Association of Collegiate Schools of Planning.
미국
(2019)
Exploring Spatial Patterns of Growth in Vacant Housing. poster presentation.
International Conference Asia-Pacific Planning Societies Conference.
대한민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