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인적자원관리 (Public HRM), 인적자원개발 (HRD), E-HRM, 공공리더쉽, 공공신뢰, 협력적 거버넌스, 공공정책 관리 및 집행, 비영리기구(NGO)행정관리 및 집행, 공공동기 (Public Service Motivation), 국가 혁신 및 행정개혁, 인사정책개혁
학력
(2007) The University of Georgia,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Policy (행정학 박사)
(2002) Columbia University, School of International and Public Affairs (국제정치학 석사)
(1997)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정치학 학사)
약력/경력
(2018-)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NHI) 겸임교수
(2018-)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국정전문대학원 교수 재직
(2017-) 성균관대학교 교육개발센터 센터장 (Center for Training and Learning) 재직
(2016-) 미국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Sol Price School of Public Policy, Visiting Associate Professor*
(2016-)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BK 21 PLUS 사업단 <공감정부 구현을 위한 통섭적 공공 리더 양성단> 사업단장
(2016-) 성균관대학교 Korea-LAC (Latin America Caribbean) MPM(Master of Public Management) 석사과정 프로그램 주임교수
(2015-)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국정전문대학원 공공인재개발연구센터 센터장 재직
(2014-) 성균관대학교 글로벌리더학부 (정책학 전공) 학부장 재직
(2012-2018)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국정전문대학원 부교수 재직
(2011-) 성균관대학교 Global 전자정부/정보정책 석사과정 (G-MPA) 주임교수 재직
(2010-2012)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국정전문대학원 조교수 재직
(2007-2009) University of Nevada, Las Vegas (UNLV) 그린스펀 (Greenspun) 행정대학원 조교수 재직
(1997-2001) 국가정보원 외사/국가정보 분석팀 재직
학술지 논문
(2022)
"실적 중심의 성과평가체계 개선방안 연구: 중앙행정기관 성과평가제도에 관한 FGI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21,
4
(2022)
공채와 경채 간 입직 경로 차이에 따른 개인가치 부합성 및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성 분석 연구: 공무원의 조직지원인식 및 인적자원개발활동 선행요인을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집.
53,
2
(2022)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Leadership and Ethical Climate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in Korea and China: Moderating Role of Confucian Values.
SUSTAINABILITY.
14,
21
(2022)
다양성관리 정책이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업무자율성과 자율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국정관리연구.
17,
3
(2022)
서번트리더십과 적극행정 간 행태적 관계성에 관한 실증연구: 자기효능감, 공공봉사동기의 매개효과 및 협력·경쟁문화의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34,
3
(2022)
정부조직 내 하이브리드 근무만족도, 리더십, 성과 간의 관계성 실증연구: 직무특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행정.
32,
3
(2021)
Research on the determinants of public employees’ quality of work life: relocation of Korean government agencies to Sejong City.
International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26,
4
(2021)
고등교육정책의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 자료포락분석(DEA)기법을 활용한 BK21플러스 사업을 중심으로.
미래교육학연구.
34,
3
(2021)
공공봉사동기와 조직몰입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변화관리 인식과 공정성 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60,
3
(2021)
스마트워크(smart work)가 공직사회 회복탄력성(resilience)과 민첩성(agility)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공직자의 긍정적 나르시시즘(narcissism)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부행정.
17,
1
(2021)
윌다브스키의 searching for safety 재조명: 조직자원과 리더십이 조직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20,
4
(2022)
MZ세대 학자들의 연구 다시 읽기 조직 및 인적자원관리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단독
(2021)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미래 공공인력의 전략적 양성을 위한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혁신방안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공동
(2021)
2020/21 KSP Policy Consultation Report: Human Resource Management Innovation and Capacity Development for Civil Service Reform in Peru.
Korea Development Institute.
공동
(2021)
공공가치 창출을 위한 현대조직론.
박영사.
공동
(2021)
Policy Challenges and Government Innovations in Public Organizations, Public Personnel, and Public Finance.
KIPA (한국행정연구원).
주저자
(2020)
2020 한국인의 정체성: 지난 15년간 변화의 궤적.
동아시아연구원.
공동
(2020)
Collaborative Governance in East Asia: Evolution towards Multi-stakeholder Partnerships.
Daeyoung Moonhwasa Publishing Company.
주저자
(2019)
Diffusing and Sharing Korean Models and Strategi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공동
(2019)
인문사회과학자를 위한 논문작성 HandBook.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주저자
(2019)
인문사회과학자를 위한 논문작성법.
성균관대출판부.
주저자
(2019)
Advanced Human Resource Development(AHRD) for State Capacit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Vietnam.
Yonsei University Press.
공동
(2019)
함께 풀어가는 사회문제 : 갈등과 협력사례.
윤성사.
공동
(2019)
대한민국 공무원 그들은 누구인가.
문우사.
공동
(2019)
공공인재개발론 사례서.
한국학술정보.
주저자
(2019)
공공인재개발론 이론서.
한국학술정보.
주저자
(2018)
한국형 인재양성 모델과 경험(Ⅱ) -민간부문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공동
(2018)
Case Studies on Public Policy in Korea for Knowledge Sharing.
Korea Development Institute.
공동
(2018)
미래 사회와 정부의 역할.
문우사.
공동
(2017)
한국형 인재양성 모델과 경험(Ⅰ)-공공부문편(상).
율곡출판사.
공동
(2017)
한국형 인재양성 모델과 경험(Ⅰ)-공공부문편(하).
율곡출판사.
공동
수상/공훈
(2016) 성균관대학교 업적평가: 교육영역 우수성과 신품 (神品) 수상
(2015) 성균관대학교 인문사회 캠퍼스 우수업적 정년 보장 부교수 선정
(2015) 제27회 LG 연암해외연구교수 선정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Visiting
Professor)
(2015) 성균관대학교 업적평가: 교육영역 우수성과 묘품 (妙品) 수상
(2013) 2012년도 SKKU-Young Fellowship 수상
(2011-2015) 성균관대학교 업적평가: 연구영역 우수성과 신품 (神品) 수상
(2008) 미국 경영학회 (AOM) 공공 및 비영리 분과 (PNP Session) 최우수 박사논문상 수상
(2008) 미국 Review of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ROPPA) 최우수 논문상 수상
(2006) 미국 SECoPA 학회 최고논문상 (The Morris W. H. Collins Award) 수상
(2005) 미국 경영학회 (AOM) Sage Publications 최우수 학회논문상 수상
(2008) UNLV Teaching and Learning Center (TLC) Fellowship
(2007) Pi Alpha Alpha - The National Honor Society for Public Affairs and Administration by the University of Georgia Chapter
학술회의논문
(2022)
서번트리더십과 거래적리더십이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MZ세대 비MZ세대 비교를 중심으로.
2022 한국행정학회 동계공동학술대회 및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2022)
"What Contributes to the Redesigning of Data Driven Future Organization?
:A Fuzzy 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fsQCA)".
International Workshops on Public Policy 3.
헝가리
(2022)
"공직사회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리더십과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2022 한국행정학회 하계공동학술대회 및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2022)
"서번트리더십과 적극행정 간 인과적 관계성에 대한 실증연구:
자기효능감, 공공봉사동기의 매개효과 및 협력·경쟁문화의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2022 한국행정학회 하계공동학술대회 및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2022)
공무원의 조직지원 및 인적자원개발활동에 대한 인식 수준이 개인 가치적합성 및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공개경쟁채용자와 경력경쟁채용자 차이를 중심으로.
2022 한국행정학회 하계공동학술대회 및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2022)
다양성관리 정책이 구성원의 스트레스, 직무만족,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2022 한국인사행정학회 춘계학술대회.
대한민국
(2022)
"Public Service Motivation, Ethical Behavior, and HR practices: Results from Experimental Study".
IRSPM Conference 2022.
EU연합
(2021)
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와 조직몰입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공정성과 변화관리 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
2021 한국행정학회 하계공동학술대회 및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2021)
스마트워크(smart work)가
공직사회 회복탄력성(resilience)과 민첩성(agility)에 미치는 영향.
2021 한국행정학회 하계공동학술대회 및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2021)
윌다브스키의 Searching for Safety 재조명:
조직자원과 리더십이 조직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2021 한국행정학회 하계공동학술대회 및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2020)
기혼 여성근로자의 삶의 질에 관한 비교연구
: 일-가정 양립정책의 방향성을 중심으로.
2020년도 한국인사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
대한민국
(2020)
삶과 혁신, 그리고 스마트워크:
대한민국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대한민국
(2020)
공직 내 변혁적 리더십과 공무원의 적극행정과의 관계성 연구
: 행태적 매개효과 및 채용제도와 직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2020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
대한민국
(2020)
Towards a Collaborative Governance: Exploring Consequences of Conflict Resolution Initiatives in Asia
(동아시아 협력적 거버넌스 내재화를 위한 갈등관리제도 영향성 연구).
2020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대회.
대한민국
(2019)
두려움 없는 조직만들기 프로젝트: 적극행정 내재화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 (행정안전부 지방인사혁신 특별세션).
대한민국
(2019)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국민과 정부 간 협력과 소통: ‘국민디자인단’ 사례를 중심으로.
2019-20년 SSK Networking 제1차 심포지엄.
대한민국
(2019)
An Experimental Research on Dynamic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 With a focus on Korean and Singaporean Public Sector.
International PSM Conference: ELEVATING PUBLIC SERVICE MOTIVATION.
미국
(2019)
공직 내 적극행정문화 확산을 위한 결정요인 연구.
2019년 행정학 하계학술대회 및 한국행정학회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2019)
Determinants of public employees' Quality of Work Life(QWL): With a focus on the relocation of Korean government agencies to Sejong City.
2019년 행정학 하계학술대회 및 한국행정학회 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2019)
Analysis on determinants of overtime work in Korean civil servants using data mining analysis.
2019 AAPA Annual Conference.
필리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