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진 전임교수
교수진
교수
지방자치, 지역문화, 도시-지역거버넌스, 지속가능발전
정문기
관심분야
지방자치, 지역문화, 도시 및 지역거버넌스, 지속가능 발전정책
학력
성균관대 행정학(학사)
美 텍사스대 행정학(석사)
美 플로리다 주립대 행정학(박사)
약력/경력
2010.07 ~ 2010.12 행정안전부 정책자문위원회 지역발전 분과회의
2011.01 ~ 2011.06 행정안전부 정책자문위원
2011.05 ~ 2012.12 행정안전부 자체평가위원
학술지 논문
(2022)
지역의 치안안전 및 보건의료인식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책학회보.
31,
3
(2022)
소멸위기 지방정부의 핵심생산가능인구 유입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34,
2
(2022)
공동체의식이 지역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31,
1
(2022)
지방정부의 사회복지예산 지출 결정요인 분석.
정책분석평가학회보.
32,
1
(2021)
도시재생사업에서의 주민 비참여에 관한 연구-퍼지셋 질적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33,
3
(2021)
고용서비스 청년 참여자의 취업 영향요인 분석: 지역노동시장, 참여자 비교우위, 사업수행기관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30,
2
(2021)
지방정부 서비스 만족도가 정주성에 미치는 영향 및 지역 간 경제력 격차에 따른 차이 분석: 전라북도 경제활동인구(만25세〜49세)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30,
2
(2021)
지역사회협력을 통한 공공문제해결 방안 탐색: 서울특별시 제1호 사회성과보상사업(Social Impact Bonds)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35,
2
(2021)
Residenti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social capital, and place attachment: the case of Seoul, Korea.
JOURNAL OF HOUSING AND THE BUILT ENVIRONMENT.
36,
2
(2021)
지식기반산업의 산업구조와 지역경제성과의 영향연구 -전국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33,
1
(2020)
Small-and Medium-size Communities and Economic Development.
지역정책연구.
31,
2
(2020)
근린재생형 도시재생의 정책만족수준 결정요인연구: 주민 정책인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32,
2
(2020)
지역축제만족도가 지역애착도와 지방정부의 신뢰에 미치는 영향-마산 국화 축제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32,
2
(2019)
1인 가구의 이웃관계 영향요인 연구: 경기 북부-남부의 지역 간 비교를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33,
4
(2019)
지역사회애착도가 주민참여의지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5대 생활권 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31,
4
(2019)
사회적 자본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2・3동을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33,
1
(2018)
도시재생사업에서 정부신뢰가 정책순응에 미치는 영향: 세운상가 도시재생에서의 시민-정부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27,
4
(2018)
주거지의 물리적 환경이 이웃관계를 매개로 하여지역애착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를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32,
4
(2018)
정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통한 주민참여 활성화의 정부와 시민단체의 역할에 관한 비교연구: 장수마을과 산새마을의 마을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30,
3
(2018)
한국사회에서 지방분권의 이해와 분권전략의 탐색.
한국행정학보.
52,
3
단행본
(2016)
한국 거버넌스 사례집.
대영문화사.
주저자
(2015)
The Cases of E-Governance and Development in Korea.
성균관대 출판부.
주저자
(2015)
한국 거버넌스 사례연구.
대영문화사.
주저자
수상/공훈
2018 Teaching Award (SKKU)
한국지방자치학회 학술상(2022년 2월 18일 수상)
학술회의논문
(2022)
주민 비참여 기제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 하계학술대회.
대한민국
(2022)
주민 비참여 영향요인 탐색:
수원시 행궁동 도시재생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하계학술대회.
대한민국
(2022)
공동체 사업 참여자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
대한민국
(2022)
도시재생 뉴딜사업 만족도가 지역애착도에 미치는 영향
: 충주시 성내성서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
대한민국
(2019)
사회적 자본이 사회갈등에 미치는 영향:
공동체 소속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미래행정학회 외 추계공동학술대회.
대한민국
(2019)
주거환경만족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웃관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미래행정학회 외 추계공동학술대회.
대한민국
(2018)
지역사회애착도가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대회.
대한민국
(2018)
지역개발관련 행정협의회의 협력 네트워크 유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 하계학술대회.
대한민국
(2017)
한국 중앙과 지방관계의 거버넌스적 접근.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mparison of Development Paths: China, East Asia and the World.
중국
(2017)
주거환경만족도가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책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대한민국
(2017)
산업구조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The World Congress for Korean Politics and Society 2017.
대한민국
(2017)
주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정부와 시민단체의 역할에 관한 비교연구:.
2017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대회.
대한민국
(2017)
The Agglomeration of Creative Industries and the Role of government.
2017 Annual Conference of American Society for Public Administration.
미국
(2017)
창조산업 성장 요인 분석: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을 위해 창조산업을 성장시키기 위한 요인.
한국지방정부학회.
대한민국
(2017)
지역사회애착이 마을공동체 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방자치학회 동계학술대회.
대한민국
(2016)
공동체의식이 온라인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2016 한국정책학회 추계학술대회 겸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대한민국
(2016)
안전마을 만들기 사업이 주민만족에 미치는 영향: 동대문구 회기동과 서대문구 홍은1동을 중심으로.
2016 한국정책학회 추계학술대회 겸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대한민국
(2016)
서울시 사회혁신정책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한국지방자치학회 동계학술대회.
대한민국
(2015)
서울시민의 행복과 사회적 신뢰의 영향요인 분석.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
대한민국
(2015)
지역 내 문화자본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대회.
대한민국
이 사이트는 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을수 있습니다.